728x90

실화에 기반을 둔 영화는 그 감동이 더 진하게 다가온다.  2021년에 개봉한 영화, '더 스파이'를 봤다. 한글 제목은 '더 스파이'지만, 영어제목은 'the courier', 운반책, 배달원이라는 뜻이다. 영화를 보고나서 영문제목이 더 어울린다는 생각이 들었다. 냉전시대에 핵전쟁까지 갈 뻔 했던 것을 민간인 운반책과 소련 첩보원이 막아냈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인데, 베네딕트 컴버배치(Benedict Cumberbatch)가 연기한 그레빌 윈이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영화다. 첩보 영화답게 긴장감있게 전개되지만 화려한 액션 영화는 아니다. 특히, 인물의 고뇌에 집중하는 중반 이후로는 무거운 분위기로 전환된다. 베네딕트 컴버배치의 진지한 연기가 볼 만했다.
 

출처: 공식 트레일러

 

줄거리

 
냉전이 한창이었던 당시, 소련의 고위간부였던 펜코프스키는 핵전쟁까지 가게 될 것을 우려하여 미국에 기밀정보를 건넨다. 이를 입수한 미국은 소련의 의심을 피하기 위해 영국인, 그것도 민간인을 포섭하여 펜코프스키 대령과 접선하고자 한다. 양국 첩보기관인 CIA와 MI6는 이를 위하여 그레빌 윈이라는 영국인 사업가를 컨택한다. 그는 모스크바로 가서 비지니스를 하며 펜코프스키와 접선한다. 미국과 영국은 그레빌 윈을 운반책으로 하여 고위직 펜코프스키가 보내오는 소련의 고급 기밀 정보들을 얻을 수 있었다. 영화에서는 그레빌 윈과 펜코프스키 모두 아내와 자식이 있는 가장으로서 가족을 소중히 여기는 모습, 그리고 둘 사이의 인간적인 우정도 부각이 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전시대라는 역사적 배경은 이들을 가족에만 안주할 수 없게 만들고, 위험한 첩보 일을 진행하게 하는데...(이후는 스포관련 생략)

출처: 공식 트레일러

 

그레빌 윈(Greville Wynne)의 실화

 
**주의**<그레빌 윈의 실제 이야기는 영화 내용과 일부 겹쳐지므로 스포가 될 수 있습니다. 원치 않으시면 읽지 마세요!>
 
그레빌 윈은 실제로 영국 사업가였는데, 동유럽에 왕래가 잦은 편이었다. MI6는 이를 눈여겨보아 그를 모스크바로 보내 펜코프스키 대령과 접선하도록 했다. 그때가 1960년이었고, 실제로 이후 윈과 펜코프스키가 유출해 온 소련의 군사 기밀은 5천 건 이상 되었다고 한다. 건수가 점점 많아지자 KGB의 의심을 샀고 1962년 11월, 두 사람 모두 발각되어 체포됐다.
1963년 5월에 윈은 8년형, 펜코프스키는 사형을 선고받았다. (윈은 운반책이었을 뿐 첩보내용은 몰랐다는 것을 인정해줬던 것일까?) 이후 펜코프스키는 처형됐고, 그의 가족은 모스크바에서 조용히 살 수 있게 해줬다고 한다. 윈은 1964년까지 2년간 수감되다가 그의 건강악화를 염려한 영국 당국에 의해 소련 스파이 코논 몰로디(Konon Molody)와 교환 석방됐다.
석방 이후, 그는 계속 사업을 이어갔지만 수감기간 기다려줬던 아내와는 이혼했다고 한다. 이후 1970년 Johanna Herma Van Buren이라는 분과 재혼했으나, 몇 년 후에 헤어졌고, 1990년, 70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살아있는 동안, BBC와 미국 방송에 출연하기도 했고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책 2권을 발간했다. 그는 수감생활로 인해 우울증과 알콜 중독에 시달렸고, 후두암으로 사망했다. 
 

출처: 공식 트레일러

 

We are only two people, but this is how things change.

 
영화에서 펜코프스키가 그레빌 윈과 우정을 쌓아갈 때 한 말이었다. 그리고 영화 마지막에 그레빌 윈이 이 말을 다시 떠올린다. 영화가 이야기하고 싶은 주제의식이 아닌가한다. 거대한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우리는 그 흐름을 바꿀 힘이 없는 한 개인에 불과하지만, 옳다고 믿는 일을 했을 때, 때로는 그 흐름을 바꾸는 일이 일어난다. 그렇게 보면 역사의 흐름은 권력자의 선택만이 아니라, 한 사람 한 사람의 신념과 선택이 모여서 일어나는 게 아닐까.
실제로 그들이 유출한 군사 기밀로 쿠바 미사일 사건(영화에서는 '역사 상 가장 위태롭던 핵재앙'이라고 평가)을 잠재울 수 있었고, 이후에 미국과 소련의 핫라인이 생겼다고 한다.
 

출처: 공식 트레일러
개인의 희생과 전체의 이익

 
그러나 한 편으로 그레빌 윈의 인생은 수감 이후 많은 것이 달라졌던 것을 생각하면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소련에 발각되어 모진 수감생활로 인해 우울증과 알콜중독을 앓았고, 후두암으로 사망했다. 수감기간 기다렸던 아내와 오래 못가 이혼한 것도 그 영향이 있었을 것이다. 민간인이었던 그를 위험한 첩보 수행 한복판에 들여놓은 정부기관의 선택은 정당한 것일까? 
물론 민간인이었기 때문에 작전에 성공한 것일 수 있었을 수도 있지만(결국에는 발각되어 체포되고 말았다.), 수행하는 민간인은 심각한 위험에 노출되는 일인 만큼 신중한 검토와 강력한 보호조치가 필요한 문제인 것 같다. 우리나라도 북한의 여러 도발 속에 전쟁 위험이 잠재되어있는 상황인데, 이 영화가 옛날 이야기로만 들리지 않는 이유다. 국가 안보와 개인의 권리를 균형있게 고려하는 것은 정말 어려운 문제인 것 같다. 
 
한 사람의 인생에 대한 깊은 감동과 함께 여러가지 생각을 하게 하는 영화였습니다. 실화 영화를 좋아하는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쿠팡플레이에서 볼 수 있습니다.
 
 
 

300x250
728x90

점점 미스터리를 더해가며 흥미진진해지는 아파트 이웃들이 수상해 시즌1, 3화 줄거리 시작합니다.

 

How well do you know your neighbors?

 

2005년 올리버 집에서의 저녁식사 장면부터 시작합니다. 당시 올리버는 아내와 함께 살고 있었네요. 투자자 친구들을 초대해서 저녁식사를 한 뒤 자신이 구상하고 있는 뮤지컬 '스플래시(Splash)'에 대해 소개합니다. 공연장에 직접 수영장을 만들어 다이빙도 하고 싱크로나이즈도 하는 등의 신개념 공연이네요. 그리고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디렉터로서의 자신감을 주장합니다.

And I figure, if I've got a shot, I gotta go all in.

그리고 저는 생각했어요, 나에게 기회가 왔을 때, 올인 해야한다고요.

위와 같은 패기로 예전에 아내와 만났던 일화도 이야기했는데, 아무것도 없었던 그 때, 브로드웨이의 뮤지컬은 다 자기가 맡게 될 거고, 이 집 아코니아에서도 살게 될거라고 아내에게 호언장담했었다네요. 그리고 정말로 아코니아에서 아내와 함께 살고 있는 올리버! 그에게 이 집이 더 특별한 이유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주요 투자자였던 테디의 추가 투자 승낙을 얻어냅니다.

 

다시 현재로 돌아와서, 찰스와 올리버는 팟캐스트 나래이션을 녹음 중입니다. 티격태격대는 이들의 티키타카는 오늘도 유쾌하네요. 찰스가 미스터리 팟캐스트의 분위기를 더 하기 위해 콘서티나(작은 아코디언)를 연주하면서 나래이션했습니다. 이것을 지적하자 찰스는,

The concertina can be very haunting. It transport.

콘서티나는 매우 오싹할 수 있어. 그게 그렇게 만들어준다고.

이렇게 말하죠. 그러나 올리버는 아래와 같이 대답합니다.

Yeah well, it transports me back to 1800s Ireland. 

그래, 난 1800년대 아일랜드로 돌아간 기분이야.

I feel like I'm in the middled of the Potato Famine.

(당시) '감자 대기근'의 한복판에 있는 기분이라고.

 

찰스는 어슐라에게서 받은 팀 코노에게 왔던 민원 파일을 정리했습니다. 민원을 제기한 사람들과 내용을 보드에 붙여놨는데요, 자랑스럽게 보드판을 보여주자 메이블이 뭍습니다.

Cool, but why are they all selfies?

좋네요, 근데 사진들이 왜 다 셀카에요?

So I don't draw suspicion.

그래야 내가 의심받지 않으니까요.

본인 셀카 찍는 척 하며 사람들 사진찍느라 사진마다 찰스의 반 이상 차이하고 있습니다. 귀엽네요..ㅎㅎ

 

 

이들 중에 누구를 용의자로 삼아야 할지 고민입니다. 찰스는 팀 코노가 죽던 날, 홀로 계단을 올라가던 후드티 남자가 의심스럽다고 했는데, 올리버는 하워드가 의심스럽다고 합니다.

Tim threatened to kill his cat, and he knew that Tim had a gun.

팀은 그의 고양이를 죽이겠다고 위협했고, 그는 팀이 총을 갖고 있는 것도 알았어.

그는 팀 코노가 총을 갖고 있다는 사실도 알고 있었고, 천식을 앓고 있는 팀 코노는 고양이를 죽이겠다고 화를 냈었다고 하니 동기가 충분하다는거죠. 그래서 올리버는 찰스와 메이블에게 하워드를 조사해오라고 보냅니다.

 

한편 올리버는 옛친구 테디의 집 문을 두드립니다. 

300x250
728x90
성난 사람들(BEEF) 에미상 수상
출처: Televisiion Academy 공식 유튜브 채널

 
한국계 감독이 만들고, 한국계 배우가 주연한 넷플릭스 시리즈 '성난 사람들 (BEEF)'가 에미상을 휩쓸었다는 기분좋은 소식이 전해지네요.
작품상, 감독상, 작가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등 8관왕을 차지했다고 합니다.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도 좋은 성적을 냈던 작품인데, 에미상에서도 좋은 소식을 들려줬습니다.
 
 

출처: 공식 트레일러

 
미나리를 통해 우리나라에 잘 알려진 배우 스티븐 연이 주연을 맡았고,
한국에서 태어난 이성진 감독이 연출과 각본을 담당했다고 합니다.
에미상은 TV시리즈 부문에서 아카데미상에 비견될 만한 명망있는 상이라고 하는데 정말 반가운 소식입니다.
 
 

넷플릭스 시리즈
출처: 공식 트레일러

 
예전부터 넷플릭스에서 눈여겨 보고 있던 시리즈였는데요,
이번 수상소식을 듣고 나니 더 미룰 수 없겠다 싶어 저도 정주행을 시작했습니다.
마트에서 사소한 자동차 시비로 시작된 남녀 주인공의 갈등이 분노를 쏟아내며 점점 파국으로 치닫는 블랙코미디인데요, 마지막에는 감동적으로 끝난다고 합니다.(저는 아직 정주행 중이에요)
이게 그렇게까지 화를 낼 일인가 싶지만, 단순히 상대방에 대한 분노가 아니라 인물들이 처한 여러 답답한 상황들로부터 일종의 분출구가 되는 것 처럼 보였습니다. 
현대인의 분노감을 세밀하면서도 유머러스하게 표현한 것이 많은 공감을 얻었다고 하네요.
 
1화부터 꽤 몰입도가 있어서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중간 중간 나오는 음악들도 참 좋았는데, 이번에 음악쪽은 수상하지 못해서 아쉽네요.
(특히 1화 마지막에 Hoobastank의 The Reason이 나올 땐 어찌나 반갑던지. 예전에 즐겨듣던 향수에 젖었네요.)
그래도 캐스팅상, 의상상, 편집상 등 모두 수상했으니까요 ^-^
 
 

이성진 감독 수상소감

 
감독인 이성진 씨는 한국에서 태어나서 미국으로 건너갔다고 하는데요, 어려움도 많이 있었나봅니다.
이번 수상식에서도 잠깐 언급했는데, 에미상 수상식에서의 수상소감을 잠깐 소개합니다.

출처: Televisiion Academy 공식 유튜브 채널 (이성진 감독의 감독상, 각본상 수상소감)

 
When I first moved to LA, my bank account went to the negative by 63 cents.
처음 LA에 왔을 때 통장 잔고가 마이너스 63센트까지 갔다.
So I had to deposit a dollar bill into my account to avoid the overdraft fee,
그래서 초과인출수수료를 피하려고 1달러를 내 계좌에 입금해야했다.
and the ATM screen said, "Are you sure you want to deposit 1 dollar?"
그런데 ATM기가 "정말 1달러 입금하려는게 맞습니까?"라고 했다.
and I was like "No."
그래서 나는 "아니오"라는 것 같았죠.
 
I wasn't sure of anything back then, 
그때 나는 아무것도 확실한게 없었다.
I certainly wasn't sure of holding something like this.
확실히 나는 이런 걸(에미상) 손에 쥐고 있게 될 줄 전혀 몰랐다.
 
성난 사람들 (BEEF)에는 이성진 감독의 자전적 얘기들이 많이 녹아있다고 합니다. 
어려움을 겪고 일어난 사람일수록 그의 스토리가 사람들에게 큰 공감을 일으키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작품들 많이 기대됩니다^^
 

300x25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