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3에 대해서 많이들 하게 되는 질문들에 대해서,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 #1. web3라는 얘기는 왜 나오는 걸까? web은 알겠는데, web2, web3는 무슨 차이인가?
- #2. 각각의 구체적인 사례는?
- #3. web3의 세계는 정말 찾아올 수 있을까?
#1. web3라는 얘기는 왜 나오는 걸까?
(web은 알겠는데, web2, web3는 무슨 차이인가?)
Web1
이용자는 view만 할 수 있고 계정이 없다.
Web1은 초기의 정적인 웹입니다. 이는 주로 정보의 단방향 전달에 초점을 두었으며, 사용자는 주로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소비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사용자와 서버 간의 상호작용이 제한적이었고, 대부분의 플랫폼이 중앙집중화되어 있었습니다.
Web2
web2, 이용자 계정의 Password를 회사가 보관한다
Web2는 상호작용과 협업이 강조된 웹입니다. 이는 소셜 미디어, 온라인 커뮤니티, 클라우드 서비스 등을 포함한 현대적인 인터넷의 모습을 의미합니다. Web2에서는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생성하고 공유할 수 있으며, 실시간 상호작용과 소셜 네트워킹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플랫폼은 여전히 중앙집중화되어 있고, 사용자 데이터와 제어 권한이 플랫폼 운영자에게 집중되는 한계가 있습니다.
Web3
web3, 이용자 계정의 Password를 개인이 보관한다
오랜만에 web3 SNS 스티밋에 들어갔다가 password를 기억하지 못해서, reset을 해보려고 했다.
그러나 steemit은 역시 찐 web3 서비스다. 패스워드 잃어버리면 끝인 것이다. 중앙화되어 계정을 컨트롤하고 관리하는 주체가 되는 회사가 없다. 각 개인이 잘 보관해야 한다. 그래서 결국 새로 계정을 만들고 첫 글을 남겼다.
https://steemit.com/john8-32/@heejoonhwang/feat-truth-shall-set-you-free
Web3는 분산 웹(Distributed Web)이라고도 불리며, 중앙화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용자들에게 더 많은 통제력을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Web3는 블록체인과 분산 웹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이 중앙 기관이나 중개자 없이 서로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는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과 개인정보를 강화하며, 스마트 컨트랙트와 암호화폐를 통해 신뢰성과 투명성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Web3는 중앙 집중화된 기존의 인터넷 모델에서 탈피하여 분산화와 사용자의 자율성을 강조한 새로운 웹의 형태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암호화폐,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 분산화된 스토리지, 신원 인증 등 다양한 기술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습니다. Web3는 사용자가 중앙 기관에 의존하지 않고, 자신의 데이터와 디지털 자산을 직접 소유하고 관리할 수 있는 웹 환경을 제공합니다.
또한, Web3는 블록체인 기술과 스마트 컨트랙트를 중심으로 구축됩니다. 이더리움(Ethereum)과 같은 플랫폼은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DApp)을 개발하고 실행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들은 중앙 기관에 의존하지 않고, 분산된 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Web3의 목표는 사용자의 자율성과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며, 중앙화된 기존의 웹 모델에서 벗어나 상호작용과 협업의 새로운 모델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기술을 중심으로 한 Web3의 발전은 분산화와 탈중앙화를 추구하는 새로운 인터넷 시대의 도래를 의미합니다.
#2. 각각의 구체적인 사례는?
Web1
web1, get views
- 1990년대 초반의 초기 인터넷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 정적인 HTML 웹페이지가 주류이며, 정보의 단방향 전달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 사용자는 주로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소비하고, 상호작용의 기회는 제한적입니다.
- 예시: 1990년대 초반의 닷컴 버블 시기에는 정적인 기업 웹사이트가 많이 등장했습니다.
Web2
web2, get likes
- 현대적인 인터넷의 모습을 대표하는 웹입니다.
-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생성하고 공유할 수 있으며, 실시간 상호작용과 소셜 네트워킹이 가능합니다.
- 사용자들 간의 협업이 강조되며, 소셜 미디어, 온라인 커뮤니티, 클라우드 서비스 등이 활발히 사용됩니다.
- 예시: Facebook, Twitter, Instagram, YouTube, Google Docs 등이 Web2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Web3
web3, get paid
- 현대적인 인터넷의 모습을 대표하는 웹입니다.
- 중앙 집중화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용자의 자율성과 개인정보 보호를 강조하는 웹입니다.
- 블록체인과 분산 웹 기술을 활용하여 중개자 없이 사용자들이 직접 상호작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 사용자의 데이터와 디지털 자산을 소유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스마트 컨트랙트와 암호화폐를 활용하여 신뢰성과 투명성을 보장합니다.
- 예시: Steem 탈중앙화 SNS, MetaMask를 이용한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DApp) 사용, Uniswap을 통한 탈중앙화된 거래, OpenSea에서의 NFT 거래 등이 Web3의 예시입니다.
유저 10만 명 이상을 모아낸 web3 서비스?
CryptoKitties: CryptoKitties는 Ethereum 블록체인 위에서 동작하는 탈중앙화된 가상 고양이 게임입니다. 사용자들은 유전자 조합을 통해 고유한 디지털 고양이를 생성하고 거래할 수 있습니다. 이 게임은 2017년에 출시되었으며, 출시 이후 많은 관심과 인기를 얻어 유저 수가 급증했습니다. CryptoKitties는 유저들이 디지털 자산을 소유하고 거래할 수 있는 Web3의 잠재력을 보여준 성공 사례 중 하나입니다.
Uniswap: Uniswap은 Ethereum 기반의 탈중앙화된 거래소로서, 사용자들이 암호화폐를 교환하고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자동으로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Uniswap은 간편한 사용성과 탈중앙화된 특성으로 많은 유저들의 관심을 받아왔으며, 유저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Brave Browser: Brave Browser는 개인정보 보호와 광고 차단 기능을 강조하는 웹 브라우저입니다. 브라우저 내에서 기본적으로 광고가 차단되며, 사용자는 광고를 볼 경우 보상으로 암호화폐인 Basic Attention Token (BAT)을 받을 수 있습니다. Brave Browser는 사용자들에게 개인정보 보호와 광고 선택의 권한을 부여하여 많은 유저들의 관심과 참여를 얻었습니다.
Steem : Steem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탈중앙화된 소셜 미디어 플랫폼으로, 사용자들은 콘텐츠를 생성하고 공유하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Steem은 사용자들이 플랫폼 내에서 콘텐츠를 작성하고 게시하는 것을 장려하기 위해 스팀 토큰을 보상으로 제공합니다. 이 토큰은 사용자들이 콘텐츠에 투표하거나 참여함으로써 얻을 수 있으며, 작성자는 받은 보상을 스팀 토큰으로 전환하거나 다른 암호화폐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Steem은 사용자들에게 중앙 집중화된 소셜 미디어 플랫폼과는 다른 경험과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용자들은 자신의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과 제어권을 가지며, 중간 거래자나 광고주 없이 직접적인 상호작용과 보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Steem은 대규모의 사용자를 모으며 Web3의 성공 사례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3. web3의 세계는 정말 찾아올 수 있을까?
이야기가 길어져서 다음 포스팅으로 이어가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